足家之馬(족가지마)

이 고사성어는 "분수에 지나친 행동을 경계하라" 는 깊은 교훈을 담고있다,

아주먼 옜날 중국 진나라시대에,어느 마을이 있었는데 그 마을사람들에 성씨는 신체의 일부를 따르는 전통이 있었다,

대대로 귀가큰 집안은 이(耳)씨,화술에 능통한 사람을 많이 배출한 집안은구(口)씨 하는식이였다,

그곳에 수(手)씨 집안이 있었는데,그집안은 대대로 손 재주가 뛰어난 집안이었다,

이 '수'씨 집안에는 매우뛰어난 말 한필이 있었는데,이 역시 수씨집안의 손재주에 의해 길들여진 것이었다,

어느날 도적들과의 전쟁에 수씨 집안의 큰 아들이 이말을 타고나가 큰 공을 세워 진시황 으로부터 벼슬을 받았다.

이것을 본 앞집의 족(足)씨 집안에서는 "손재주나 우리 집안의 달리기를 잘하는 발재주나 비슷하니 우리도 말을 한 필 길러봄이 어떨까?" 하여 말 한 필을 길들이기 시작했다.

한 달 후, 도적들이 보복을 위해 마을로 내려왔다.

이를 본 족씨는 아들에게 "어서 빨리 수씨 집안보다 먼저 우리 말을 타고 나가거라" 하고 일렀고, 족씨 집안의 장자는 말을 타고 나가다 대문의 윗부분에 머리를 털리며 어이없게도 죽고말았다.

이를 본 족씨는 통곡하며"내가 진작 분수에 맞는 행동을 했더라면 오늘의 이 변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을..."하며 큰 아들의 주검을 붙잡고 통곡하였다.

이때부터 세인들은 분수에 맞지 않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"足家之馬(족가지마)" 라고 말하곤 한다.

足家之馬(족가지마): 자기의 주제도 모르고 남의 일에 참견하거나 분수에 맞지 않은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흔히 하는말.

파생어 - 足家苦人內(족가고인내) : 옛날 족씨 가문의 큰아들이 집안에서 죽음에서 비롯.

주의: 이 고사성어를 빠리 발음하지 마시오.